MBTI 팩트체크 : ISFP(잇프피)
오늘은 "성인군자형", "호기심 많은 예술가" ISF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선호지표
내향형 Introversion - 내면, 생각
- 깊이 있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조용하고 신중하며 이해한 다음에 경험한다.
- 자기 내부에 주의를 집중함.
- 내부 활동과 집중력. 조용하고 신중함.
- 말보다는 글로 표현하는 편.
- 이해한 다음에 경험함.
- 서서히 알려지는 편.
감각형 Sensing - 현실, 실용, 실천
- 오감에 의존하여 실제의 경험을 중시하며 지금, 현재에 초점을 맞추고 정확, 철저히 일처리한다.
- 지금, 현재에 초점.
- 실제의 경험 중시.
- 정확하고 철저한 일처리.
- 사실적 사건묘사.
- 숲보다 나무를 보려는 경향.
- 가꾸고 추수함.
감정형 Feeling - 인간관계, 가치판단
- 사람과 관계에 주 관심을 갖고 상황적이며 정상을 참작한 설명을 한다.
- 사람, 관계가 주관심사.
- 의미와 영향을 중시.
- 상황적, 포괄적.
- 좋고 나쁨(선악).
- 나에게 주는 의미를 중시함.
- 우호적 협조.
인식형 Perceiving - 자율성, 유동성
- 목적과 방향은 변화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일정이 달라지며 자율적이고 융통성이 있다.
- 상황에 맞추는 개방성이 있음.
- 이해로써 수용함.
- 유유자적한 과정.
- 융통과 적응.
- 목적과 방향은 변화할 수 있다는 개방성.
- 재량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포용성.
기능의 서열
주 기능
Fi 내향 감정 - 내면의 자아를 탐구하고 스스로의 진정성을 보유, 개개인의 가치와 개성을 중요시하는 데에 두각을 드러냄
부 기능
Se 외향 감각 - 현실적인 문제를 두고 남들(자신 포함)과 타협하는 데에 뛰어난 편임
3차 기능
Ni 내향 직관 - 머릿속 생각을 토대로 이론이나 예측이 필요한 상황에서 서투른 편임
열등 기능
Te 외향 사고 - 뚜렷하고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일을 추진하거나 스스로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에 큰 어려움을 겪음
유형 설명
INFP와 마찬가지로 자기중심성(自己中心性)의 양면성이 있다.
기본적으로 감정형(F) 특성상 판단에 있어 '인간의 정서', '인간 중심의 가치' 등을 지향하기에 타인 배려 성향도 다분하다.
말없이 다정하고 온화하며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상대방을 잘 알게 될 때까지 내면의 모습이 잘 보이지 않는다.
의견 충돌을 피하고, 인화를 중시한다.
인간과 관계되는 일을 할 때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에 지나치게 민감한 경향이 있다.
이들은 결정력과 추진력을 기를 필요가 있을 것이다.
3차 기능인 Ni(내향 직관)으로 눈치가 빠르며, 조용히 자기 일만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주변 상황파악도 다 하고 있다.
경험을 통해서 부기능 Se(외향 감각)과 함께 주기능 Fi(내향 감정)인 자신의 내면을 보호하는데에 잘 사용할 수 있다.
사람 간의 화합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의견 충돌을 회피하는 성향으로 인해
타인과의 갈등이 심화되었을 경우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기보다 상대방과의 관계를 끊을 수 있다.
이는 인간관계에서 큰 스트레스를 받는 ISFP의 특성 중 하나이다.
문학, 음악, 미술 분야에 관심이 많아 예술가 기질도 있으며, 사회봉사 직종에도 잘 어울리는 유형이다.
따라서 평범한 회사 사무직이나 사회봉사직에도 적지 않게 분포하는 종류의 성격 타입이다.
일반적인 특징
- 문자가 오면 뭐라 말할지 오래 고민하다가 답장을 주는 편이다.
- 누가 나를 통제하거나 바운더리 안에 오면 갑갑하다.
- 화가 잘 안난다. 화가 나더라도 쉽게 삭히거나 조용히 넘어가는 편이다.
- 성격이 유하다는 얘기를 자주 듣는다. 배려형 개인주의형이다.
- 다른 사람의 부탁을 거절하기 힘들어하며 딱 잘라 거절하기가 고민되는 편이다.
- 배려형 개인주의 성격으로 물 흐르듯이 사는 편이다.
- 조용히 손절하는 편이다. 싫은 티를 크게 내지 않고 지나가는 편이다.
- 남에게 싫은 말 못 하고 속으로 삭인다.
- 자유로움 추구 성향이 강하며 자신을 리드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귀차니즘이 심한 편이다. 미룰 때까지 미루다가 마지막에 벼락치기로 깔끔하게 정리한다.
그래도 자기가 해야 할 일은 기한 내에 확실히 끝내는 편. 평가도 괜찮게 받는 편이다.
귀차니즘이긴 하지만 아예 놓고 있는 것은 아니며, 머릿속으로 이리저리 굴려본 뒤에 마지막에 생각을 정리해서 몰아치는 타입이다.
위에서 언급된 문자 답장 내용과도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 외적으로는 튀거나 모나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평소에 성실하다는 평가를 많이 받는다.
집단의 룰을 깨는 것을 반기지 않기 때문이다. 튀고 싶은 욕구가 있을 수는 있지만 특유의 귀차니즘과 내향적인 특성 때문에
생각으로만 그치는 경우가 많다. - 규칙 틀에 묶이는 것을 싫어하며 충동에 따라 움직이는 편으로 다소 제멋대로인 편이다.
- 어색한 사람과 있으면 몸부터 굳는다. 이 사람이 나를 지루해할까봐 아무 말이나 나누면서 적응하려고 노력한다.
- 생활의 사소한 것들이 귀찮지만, 체계적으로 살고 싶어한다.
- 외향성이 강한 상대와 있으면 활동성에 지치기 쉽다.
- 남을 잘 믿는 호구다. 단체 활동에서는 격식을 차리고 그 후에 답답한 티를 낸다.
- 음악이나 영화, 패션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 카톡이나 페메같은 메시지를 안읽씹 하는 경우가 잦다.
- 대부분은 귀찮아서 ISFJ와 같이 내향형중에 외향성이 가장 강한 편이라 외향형으로 오해를 받기도 한다.
- 경험을 통해 타인에 대한 방어기제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유형이다.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 것.
- 부기능인 Se(외향 감각)을 사용해서 충동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언제라도 일자리를 박차고 떠날 수 있다.
- 3차 기능인 Ni(내향 직관)으로 겉으로는 완만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완고한 편이다.
주기능이 Fi(내향 감정)이라서, 감각형(S) 중에서는 가장 직관(N) 성향이 높은 편이다. - 감각형(S) 중에서는 가장 나무위키 스타(좋아요)의 수가 많다.
거의 인터넷에서 많은 시간을 주로 보내는 IN(내향적 이상주의자) 성향들과 ENTP 다음으로 많은 편이다. - 내향형이지만 내성적이지 않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것이 새로운 것을 배울 기회라고 이해하기 때문에
다른 내향형 유형에 비해 대담한 편이다. 평소에는 아무 생각이 없던 것도 갑자기 마음이 가기 시작하면
과감하게 불도저처럼 밀고 나가는 편이다.
ISFP 유명인
- 김다미
- 미나(TWICE)
- 지효(TWICE)
- 쯔위(TWICE)
- 설현(AOA)
- 슬기(레드벨벳)
- 웬디(레드벨벳)
- 양세찬
- 유승호
- 유재석
- 이해리(다비치)
- 정국(방탄소년단)
- 진세연
네, 오늘은 MBTI 유형 중 ISFP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ISFP는 INFP와 함께 인터넷 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형이라고 하는데요.
그들만의 세상에서 뭔가 대단한 예술작품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라이프 >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팩트체크 - 'ISFJ' 는 어떤 유형? (0) | 2021.08.04 |
---|---|
MBTI 팩트체크 - 'INFP' 는 어떤 유형? (0) | 2021.08.02 |
MBTI 팩트체크 - 'ENTP' 는 어떤 유형? (0) | 2021.08.02 |
MBTI 팩트체크 - 'ESTJ' 는 어떤 유형? (0) | 2021.07.30 |
MBTI 팩트체크 - 'ENFP' 는 어떤 유형? (0) | 2021.07.30 |